‣
🚩 좋은 발표를 하기 위해
- 내가 만든 서비스에서 고객이 우리의 의도대로 잘 행동했는가.
- 부족한 점이 있었다면, 어떻게 개선했는가 (개선할 수 있었는가)
-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활용할 수 있게 만들지 고민 및 회고 했는가.
→ 즉, 설문조사를 받거나 분석 툴을 이용하여 고객의 반응을 보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하는 것 목표.
<aside>
📢 어떤 식으로 UT를 하나요?
</aside>
🙋♀️구글폼으로 서비스 개선하기
<aside>
🗒️ 사례 1. 가입 유저만 약 200명인 ‘소행성’ 서비스

잘된 점
- 접근성 좋은 서비스로, 유입된 인원 중 가입하는 비율이 타 서비스에 비해 높았다.
-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하여, 새로운 유저도 이해하기 쉽도록 서비스 보완

왜 잘 되었을까?
🙋♀️데이터 분석 Tool 이용
<aside>
🗒️ 사례 2. Tool을 이용해 유저의 행동을 확인해본 ‘개발바닥’ 서비스

분석 Tool을 통해서 얻은 정보
- 홍보한 채널이 여러 개였는데, 그 중 어디가 홍보 효과가 가장 좋은지 파악 가능하다.
- 우리가 세웠던 가설이 맞는지 틀렸는지 점검할 수 있다.
- 퍼널 별 유저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.

아쉬운 점
- 아쉬운 점은 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하지 못했다.
but, 결과 분석에 매몰될 필요 없다. 데이터 분석 자체가 핵심이 아니니 참고만 하는 것으로.
</aside>
<aside>
💡 (선택 사항) 데이터 분석 툴 살펴보기
</aside>